목록위안부재단 (3)
취재수첩
정부가 민간단체의 일본군 위안부 기념사업에 지원하던 예산 1억5000만원 전액을 지난해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에 공모 절차도 없이 몰아준 것으로 확인됐다. 내년 예산안에는 올해 예산 편성 시 별도로 잡혔던 ‘위안부 기록물 국내외 전시’ 5억원이 같은 항목으로 통합돼 화해·치유재단이 활용할 수 있는 예산은 6억5000만원까지 가능하게 됐다. 28일 여성가족부와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이 공개한 정부 예산안 자료에 따르면 여가부는 최근 화해·치유재단에 운영비 1억5000만원을 지원했다. 이는 일본 측 출연금 10억엔을 모두 피해자 지원 및 기념사업에 쓸 수 있도록 재단 운영비를 한국 정부가 부담해달라는 재단 측 요구에 따른 것이다. 민간단체 기념사업 지원 항목은 2014년 처음..
지난해 12월28일 한·일 위안부 합의 도출 후 7개월 만에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이 공식 출범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출연하기로 한 자금 10억엔의 이전 시기가 정해지지 않았을뿐더러 구체적인 사업 내용과 계획도 불분명한 상태다. 의문투성이인 운영 방향을 둘러싸고, 재단이 왜 지금 출범해야 하는지 존재 이유 자체부터 비판이 일고 있다. 시위 28일 화해·치유재단 사무실이 있는 서울 중구 바비엥 스위트에서 재단 출범 관련 기자간담회가 열리기 직전 재단에 반대하는 대학생들이 기습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ang.com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여성가족부 등록 비영리법인인 화해·치유재단은 28일 오전 1차 이사회와 출범식을 개최했다. 재단 준비위원장을 맡았던 김..
31일 공식 출범한 일본군위안부재단 설립준비위원회에는 위안부 전문가들이 아닌 ‘일본 전문가’들만 다수 포진했다. 위원장은 새누리당 당직 경력이 있는 사회복지학자가 맡았고, 위원장과 정부 인사를 제외한 민간위원 중 절반은 일본 전문가들로 채워졌다. 한·일 위안부 합의가 부적절하다고 주장해왔던 국내 주요 위안부 연구자와 활동가들에게는 참여 제안조차 오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재단 설립 준비 단계에서부터 위원들의 전문성 부족과 편향성 등에 대한 비판과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이날 준비위 1차 회의에서 선출된 김태현 위원장(성신여대 명예교수)은 사회복지학과 교수로 33년간 재직하며 한국여성학회장과 한국노년학회장, 한국여성정책연구원장 등을 역임했다. 위안부 관련 경력은 전무하다. 2007년과 2012년 대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