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화해치유재단 (3)
취재수첩
정부가 민간단체의 일본군 위안부 기념사업에 지원하던 예산 1억5000만원 전액을 지난해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에 공모 절차도 없이 몰아준 것으로 확인됐다. 내년 예산안에는 올해 예산 편성 시 별도로 잡혔던 ‘위안부 기록물 국내외 전시’ 5억원이 같은 항목으로 통합돼 화해·치유재단이 활용할 수 있는 예산은 6억5000만원까지 가능하게 됐다. 28일 여성가족부와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이 공개한 정부 예산안 자료에 따르면 여가부는 최근 화해·치유재단에 운영비 1억5000만원을 지원했다. 이는 일본 측 출연금 10억엔을 모두 피해자 지원 및 기념사업에 쓸 수 있도록 재단 운영비를 한국 정부가 부담해달라는 재단 측 요구에 따른 것이다. 민간단체 기념사업 지원 항목은 2014년 처음..
지난해 12월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에 따라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해 설립된 ‘화해·치유재단’에 일본 정부가 10억엔(약 108억원)을 송금했다. 이 자금은 피해자와 유족에게 현금으로 지원될 방침이지만 이를 민간 비영리법인인 화해·치유재단이 아닌 외교부가 결정, 발표해 ‘한국 정부가 일본에서 돈을 받아 피해자들에게 나눠준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에 10억엔을 송금하는 수속을 완료했다고 31일 보도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일본에서 송금을 했다고 알려왔으며 1일 중 입금 처리가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 측에서 출연금 수신이 최종 확인되면 지난해 합의에 따른 일본 측 조치는 모두 마무리된다. 재단은 10억엔 중 8억엔으로 생존 피해자들에게 1억원,..
지난해 12월28일 한·일 위안부 합의 도출 후 7개월 만에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이 공식 출범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가 출연하기로 한 자금 10억엔의 이전 시기가 정해지지 않았을뿐더러 구체적인 사업 내용과 계획도 불분명한 상태다. 의문투성이인 운영 방향을 둘러싸고, 재단이 왜 지금 출범해야 하는지 존재 이유 자체부터 비판이 일고 있다. 시위 28일 화해·치유재단 사무실이 있는 서울 중구 바비엥 스위트에서 재단 출범 관련 기자간담회가 열리기 직전 재단에 반대하는 대학생들이 기습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준헌 기자 ifwedont@kyunghyang.com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여성가족부 등록 비영리법인인 화해·치유재단은 28일 오전 1차 이사회와 출범식을 개최했다. 재단 준비위원장을 맡았던 김..